[중국철학사 후기] 중국철학의 원류, 자학시대 2018-03-14 +2
라라
/ 2018-03-20
/ 조회 2,283
관련링크
본문
<중국철학사 두 번째 시간 후기>
첫 번째 시간이 철학을 보는 풍우란의 해석이었다면 이번 시간은 중국철학의 시작을 이야기 한다. 시작하기 전에 중국철학을 시대별로 간략하게 알고 가자.
하·은·주 – 춘추 전국시대 – 진·한 – 당 – 송·명 – 청
하나라와 은나라은 신화에 가깝다. 주나라부터 역사시대가 시작되었다고 본다. 주나라에서 봉토건국(봉건제)이 시작된다. 춘추 전국시대는 제자 백가시대로 난세이지만 사상적으로는 왕성하였다. 진나라 때 분서갱유가 있었기는 하지만 한나라(고조-여후-문제-경-무제)때 제도가 정비되고 관학이라고 해서 유학(훈고학)이 시작된다. 송·명시대에는 성리학과 양명학이 청나라에서는 고증학이 유학의 계보를 잇는다고 볼 수 있다.
원시유가 : 선진유가(공자 맹자 순자)
|
훈고학 : 한(당) 유가, 동중서, 유흥
|
성리학, 양명학 : 송명유가. 주희(송), 왕양명(명)
|
고증학
중국철학사상의 시작을 공자로 하는 것은 그 전에는 철학이라고 할 만한 체계적인 사상이 없었기 때문이다. 자학시대에 논의된 문제의 다양성과 광범함은 중국 역사상 최대라 볼 수 있다. 자학시대에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는데 한나라 문제에 완성이 된다. 제도가 정비되어 관학으로 출발한다.
유흠의 제자백가에 대한 전체적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1)유가학파는 대체적으로 주나라 관리의 사도(司徒:진秦 이전 시기에 백성들의 교육을 맡아보던 관직명) 출신이었다.
2)도가학파는 대체호 사관(史官:사실을 기록하는 관리를 말함)출신들이었다.
3)음양가학파는 대체적으로 희화(羲和:희씨와 화씨, 상고시대의 천지사시天地四時를 관리하던 관리를 말함)의 관리출신들이었다.
4)법가학파는 대체로 이관(理官:옥사를 심리하는 벼슬, 즉 법관을 말함)출신들이었다.
5)명가학파는 대체로 예관(禮官:옛날 예의를 관장하던 벼슬)출신들이었다.
6)묵가학파는 대체로 청묘(淸廟:종묘는 엄숙하고 깨끗해야 하므로, 청묘로 칭하였다)의 수위 출신들이었다.
7)종횡가학파는 대체로 주나라 관직인 행인(行人:주례에 대행인과 소행인이 있는데. 아침에 천자를 알현하는 일을 함. 오늘날의 외교관과 비슷함)출신들이었다.
8)잡가학파는 대체로 의관(議官:간쟁하는 벼슬)출신들이었다.
9)농가학파는 대체로 농직(農稷:옛날 농업을 관장하던 벼슬)의 관리출신들이었다.
10)소설가학파는 대체로 패관(稗官:거리에 풍속을 기록하는 관리)출신들이었다. 그들은 거리에서 들은 것, 길에서 말한 것등을 채집하여 이야기를 엮었다.
유가지류는 문사에서, 묵가지류는 무사에서, 도가지류는 은자에서, 명가지류는 변자에서, 음양가지류는 방사에서, 법가지류는 법술지사에서 유래하였다. -간명한 중국 철학사-
유가는 개개인보다는 가(家)를 중시하는데 인간의 본성 탐구를 기본으로 한다. 나를 너머서는 관문으로 종교적이기도 하다. 종교적이다는 것은 뿌리적 사고를 기본으로 한다. 수목적 사고로 근본적 사고를 지향한다. 유교가 지배적인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제사에 의미를 두고 대를 이어야한다는 사고는 이러한 예이다. 유가는 인간사(仁)는 하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유가는 순환적 세계관의 특징이 있다. 이는 농업적 세계에서 나올 수 있는 사고이다. 그리스국가들이 상업국가에서 수렵적 사고(유목민적 사고)가 나올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중국문자에 하늘(天)은 다섯 의미가 있다. 첫째 물질지천(物質之天) 즉 땅과 상대적인 하늘이다. 둘째 주재지천(主宰之天)은 황천상제(皇天上帝)로서 인격적인 하늘이다. 셋째 운명지천(運命之天)즉 우리 삶 가운데 어찌 할 도리가 없는 대상을 지칭한 것인데 예컨대 맹자가 “성공여부는 하늘에 달려있다”고 한 하늘이다. 넷째 자연지천(自然之天) 즉 자연의 운행을 지칭한 것인데, 예컨대<순자:천론편>에서 말한 하늘이다. 다섯째 의리지천(義理之天)즉 우주의 최고 원리를 지칭한 것인데, 예컨대<중용>에서 “하늘이 부여한 것이 성(性)이다”고 한 하늘이다.
-간명한 중국 철학사-
신(神)은 세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자연신인 천신이다. 둘째 조상신이다. 셋째 인격신(하느님)으로 왕을 뜻한다. 은나라에서 두 번째 세 번째를 의미했고 주나라에서는 세가지를 다 의미한다.
댓글목록
기픈옹달님의 댓글
기픈옹달
정리 감사합니다.
"유가는 인간사(仁)는 하늘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유가는 순환적 세계관의 특징이 있다. 이는 농업적 세계에서 나올 수 있는 사고이다. 그리스국가들이 상업국가에서 수렵적 사고(유목민적 사고)가 나올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인간사는 人이 되어야 하겠어요.
한편 인간의 행위가 하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때에 그 하늘은 제사의 대상이 되는 하늘과는 좀 다릅니다.
자연적이며 우주적인 하늘이라고 할까요?
펑유란은 간명한 중국철학사에서 중국과 그리스의 지리적인 위치의 차이가 사회경제적 차이를 낳았고, 이것이 철학에도 영향을 끼쳤다 합니다. 다만 이때 그리스의 철학은 상업적이며 보다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어요. 제가 예로 든 '수렵적'이라는 것은 이와는 또 다른 태도를 말합니다.
김현님의 댓글
김현
저는 중국철학사 어휘(?)가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데
그러면서도 내용은 어딘지 익숙하고 그렇습니다.. ㅎㅎ
라라님 정리 덕분에 지난 시간 내용이 다시 상기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