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 후기 -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2017년 8월 29일(화) 세미나
뉴미
/ 2017-09-01
/ 조회 1,052
관련링크
본문
‘우리는 1761년에 있다’
동문선 판본을 읽기 시작한지 불과 몇 줄 지나지 않아 문제의 글을 마주하고는 ‘아오오~~~
발번역 또, 벌써? 나왔네~ 그래도 이건 쫌 너무하지 않나?…’
그렇지만 ‘쪼오~끔’ 화가 났을 뿐이다. 그러려니 하고 스킵, 또 스킵~ 하면서 분량을 다 읽긴… 했는데 도대체 남는게 없는거다.
내가 이 책을 읽긴 읽은 건가? 발제를 해야 하는데 무슨 뜻인지 도무지 맥락조차 파악되지 않는 난해한 텍스트 앞에서 한참이나 막막했다.
민음사 판본을 펼쳤다. 크게 달라지는 건 없었지만 그래도 근성을 발휘해서 엉덩이를 의자에 딱 붙인채로 차분히 읽어내려갔다. 나는 책을 읽을 때 곳곳에 책을 펼쳐두고 텍스트를 교차시켜 가면서 읽는 버릇이 있는데, 때마침 (데리다가 백발이 다 되어 쓴) ‘법의 힘’을 읽게 되었고, 그 책 뒷 부분에 역자 주석이 데리다의 사유를 이해하는데 (시의적절하게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전에 데리다의 평전과 책들을 챙겨 읽었던터라 데리다를 쪼오~끔 안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않은 것이 데리다의 텍스트로부터 오는 감격은 언제 그것들을 읽었는가싶게 매번 새롭다. 최원 쌤께서도 잠깐 언급하셨지만, 데리다의 텍스트, 데리다의 편집은 (내 느낌대로 표현하자면) 녹다운? 카운터 펀치? 하여간 '쨘하게 뒷골 땡기는 감동'을 준다. 정말이다.
민음사 판본을 읽을 때까지, 읽고 나서도 발제 텍스트를 한 줄도 쓰지 못했다. 그런데 뒷 부분에 있는 주석과 해제문을 읽고 나서야 거짓말처럼 맥락이 보이기 시작했다. 민음사 판본의 도움을 받아 발제문을 써 내려가면서 동시에 동문선 판본을 훑어보았다. 영어 판본까지 세밀하게 살펴볼 여력은 없었다. 다만, 그렇게 읽으면 제대로 읽었다고 말 할 수 있겠지? 했다. 그러다가 ’우리는 1761년에 있다’ 가 틀린 번역도 아니구나, 오히려 충격을 배가시키는-임팩트 있는 번역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건 아마도 타임머신을 타고 순식간에 1761년에 가 있는 느낌이랄까?
루소의 <언어기원론>이 언제 쓰여졌는지가 왜 그토록 중요하단 말인가? 그리고 <고백록>은 왜 그렇게 뜬금없이 등장하는거지? 그 단락은 정말 웃기게도 나에게는 루소가 책을 팔아서-평생 룰루랄라 책이나(?) 쓰면서-편하게 살 생각을 했구나, 로 받아들여졌는데 말이지…
어쩌면 루소는 라모와의 논쟁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나름의 준비를 하고 있었을 것이다. 아니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루소와 라모의 논쟁은 꽤 오래도록 지속되었다). 그렇게 추측을 하고 보니까 퍼즐 맞추듯이, 실타래 꿰듯이… 맥락이 그렇게 또 꿰어지더라. 루소와 라모... 루소는 그 당시 유행하던 음악의 형식주의와 화성-음정 체계에 대한 저항으로 <언어기원론 - 선율 원칙에 관한 시론>을 조금씩 써 내려갔던게 아닐까? 결국 루소는 선율을-인간의 정념을, 언어의 기원-음악의 기원으로 보고 싶었던거고 '라모의 예술은 시원에서 떨어져 나간, 나쁜 형식의 예술이다.' 그 말을 하고 싶었던게 아닐까?
내가 항상 틈나는 대로 작업을 한 나의 <음악사전> 외에도, 나는 중요성이 좀 덜한 몇명 다른 저작들도 있었다. 이것들은 모두 출간될 수 있는 상태에 있으며, 내가 언젠가 시도하게 된다면, 분리된 형태로 혹은 전집으로 내놓고 싶었던 것들이다. 대부분이 아직 원고 형태로 뒤페루의 손에 있는 이 작품들 가운데 주요한 것은 <언어기원론>이다. ...(중략)... 어딘가 지방으로 깊숙이 들어가 함꼐 살 생각이었다...”
- 동문선 판본 336쪽 루소의 <고백론> 인용 부분
데리다의 치밀하면서도 무심한 듯한 편집에 다시한번 존경을 보내며 짧은 후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