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세미나 > 세미나자료
  • 세미나자료
  • 세미나발제문, 세미나후기를 공유하는 게시판입니다.
세미나자료

[코뮨] 자본 19장~20장 성과급, 임금의국가별차이 :: 발제
나나 / 2017-06-24 / 조회 1,267 

첨부파일

본문

 

< 제19장 > 성과급

2017. 6. 24(토) 나나(정진영)

 

(1) 성과급의 의미

- 같은 시기, 같은 산업부문에 시간급과 성과급이 병존

- 성과급은 시간급의 변형에 불과 -> 불합리함

- 직접적으로는 아무런 가치관계도 나타내지 않음

➠ 노동 계산

*성과급= 생산물 1개의 가치를 일정 노동시간 동안 노동자가 생산한 생산물의 개수(양)로 계산

*시간급= 생산물 1개의 가치를 노동자의 직접적인 노동시간으로 계산

➠ 성과급의 수준은 동일한 시간에 생산되는 개수가 증가하는 것과 같은 비율로, 따라서 같은 한 개에 소요되는 노동시간이 감소되는 것과 같은 비율로 저하함.

- 노동시간 그 자체의 가격 : 하루노동의 가치 = 노동력의 하루 가치

 

 

(2) 성과급의 특징

- 생산물 자체에 의하여 통제 → 임금 삭감과 자본주의적 속임수의 원천이 됨

- 자본가에게 노동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척도 제공

➠ 시간당 평균적 생산물의 양 측정 가능

(1시간에 생산되는 노동생산물의 평균적인 양은 경험적으로 결정됨. 만일 노동자가 평균적인 작업능력을 갖고 있지 않고, 하루에 일정최소량의 제품을 공급할 수 없다면 그는 해고를 당함)

- 자본가가 표준 노동 강도를 높이기에 용이

 

 

(3) 성과급의 영향

- 근대적 가내노동(공업)의 기초를 이룰 뿐만 아니라, 착취와 억압의 계층체계 (위계제도)의 토대를 형성

- 자본가가 노동의 질과 강도를 측정하기 용이 (노동의 질과 강도가 임금의 형태 그 자체에 의해 통제되기 때문) → 노동 감독 불필요

- 자본가와 임노동자 사이에 기생계급의 개입

노동자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가 발생 (자본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가 노동자에 의한 노동자의 착취를 통하여 실현)

‘노동의 하청’을 야기 (영국의 고한제도 Sweating system 라고 부름)

 

 

(4) 성과급에 따른 노동자들의 개인별 차이

- 노동시간의 가격이 일정한 생산물의 양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다르게 됨

일정시간동안 어떤 사람은 최소량의 생산물만, 어떤 사람은 평균량을, 또 어떤 사람은 평균량 이상을 공급 → 현실적 수입은 노동자 개인별로 큰 차이가 생기게 됨

- 자본과 임노동사이의 관계는 변화하지 않음

➠ 작업장 전체로 보면 개인적인 차이는 상쇄되어 결국 일정한 노동시간에 평균 생산물을 공급하게 됨

➠ 잉여가치량은 개별임금에 맞추어지는것 → 임금과 잉여가치 비율은 여전히 변하지 않음

- 개인별 차이의 여지를 제공

➠ 노동자의 개별적인 속성 (자유롭다라는 느낌과 자립성, 자발성) 을 발달시킴

➠ 노동자들 사이의 경쟁을 발전시킴

개별 임금은 평균임금 수준보다 높아질 수 있지만 평균임금 수준 자체를 떨어뜨림

- 노동생산성이 증대되면 동일한 생산물 양이 나타내는 노동시간이 줄기 때문에 성과급도 함께 인하됨 -> 총임금은 특정 생산부문의 평균 임금

성과급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가장 잘 어울리는 임금 형태임


 

(5) 성과급의 변동

- 메뉴팩처 시대에 들어와서 널리 통용되기 시작하였고, 1979~1815년 (대공업의 질풍노도 시대)까지 성과급은 노동시간을 연장하고 임금을 인하하기 위한 지렛대 구실을 했음

- 노동생산성의 변동 → 동일한 생산물 양이 나타내는 노동시간을 변동 → 성과급도 변동함 (성과급은 일정노동시간의 가격표현)

동일한 시간에 생산되는 개수가 증가하는 비율로 똑같은 1개에 사용되는 노동시간이 감소 → 성과급 하락

- 노동자 사이에 끊임없는 투쟁을 불러일으킴

➠ 자본가가 노동의 가격을 떨어뜨리기 위한 구실로 성과급의 변동을 이용

 

 

< 제 20장 > 임금의 국가별 차이

 

 

(1) 국가별 임금의 비교

- 노동력의 가치 또는 가격을 임금으로 본다면 그 모든 법칙은 갖가지 임금의 운동 법칙들로 전화함

- 국가들 사이에서는 국가별 임금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 국가들 간의 임금 비교 시 노동력가치 크기의 변동을 결정하는 계기를 고려해야 함

➠ 일차적 생활필수품의 가격과 범위, 노동자 육성비용, 여성노동과 아동노동의 역할, 노동생산성, 노동의 외연적·내포적 크기

- 국가별 노동생산성과 노동 강도를 고려하는 방법 (똑같은 산업부문이라는 전제)

➠ 평균 하루임금 → 똑같은 크기의 노동일로 환산 (하루임금조정) → 시간급을 성과급으로 환산 = 성과급만이 노동생산성과 노동의 내포적인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


 

(2) 세계시장에서의 임금 측정

- 어느 나라에나 일정한 중간정도의 노동강도가 있음

- 낮은강도의 노동(사회적으로 필요한시간보다 많은 시간을 소비) → 표준적인 질의 노동으로 계산되지 않음

- 한 나라안에서 그나라의 평균 강도를 넘어서지 않고는 단지 시간의 길이로만 계산되는 가치척도를 변경시킬 수 없음

- 세계시장은 표준적인 임금측정이 가능

➠ 측정단위: 개별국가를 구성요소로 하는 범세계적 노동의 평균 단위

➠ 강도가 더 높은 국가의 노동은 강도가 더 낮은 국가의 노동에 비해, 똑같은 시간에 더 많은 가치 (더 많은 화폐)를 생산함

 

 

(3) 가치법칙의 국제적 적용

- 세계시장 → 생산력이 더 높은 국가의 노동이 더 강도가 높은 노동으로 계산됨

- 한 나라의 자본주의적 생산의 발전수준은 그 나라의 노동강도와 노동생산성이 국제적인 수준과 얼마만큼의 격차를 보이는지 그대로 반영함

➠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좀 더 발전한 국가는 조금 덜 발전해있는 국가보다 화폐의 상대적 가치가 더 작을 것임 → 따라서 명목임금(화폐로 표현된 노동력의 등가)도 전자의 국가가 후자의 국가보다 더 높을 것임

➠ 서로 다른 나라에서 동일한 노동시간 동안 생산된 같은 종류의 상품 → 상품량 다름 → 국제적 가치 다름 → 각기 다른가격으로 표현 → 발전된 나라의 명목임금이 높음

- 그렇지만 나라별 화폐가치의 이러한 상대적 차이를 무시하더라도 일급이나 주급 등의 임금은 발전된 국가가 더 높은 반면 노동의 상대가격(잉여가치와 생산물가치에 대한 노동가격의 비율)은 미발전된 국가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음

 

 

(4) 각 국의 임금 비교의 문제점

- 임금의 변동을 연구할 때 일련의 상이한 순차적인 조합으로 등장하던 것이 각국의 임금수준을 비교할 때에는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차이로 나타남

- 노동력의 가치의 크기의 변동을 규정하는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넣어야 함

- 비교를 위해서 각국의 같은 산업의 하루의 평균임금을 같은 길이의 노동일에 대한 것으로 환원, 그리고 시간급제 임금을 성과급제 임금으로 환산하여 비교해야 함

- 화폐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명목임금이 높을 수 있으나, 이것이 반드시 실질임금(노동자가 자유로이 처분할수 있는 생활수단의 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 잉여가치 생산에 대한 분석이 ‘케어리’의 [임금률고찰] (임금은 노동일의 생산성수준에 정비레 한다, 임금은 일반적으로 노동생산성과 같은 방향으로 변동한다) 결론을 비판

- 노동력의 가치는 노동자가 일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생활수단의 가치에 의하여 결정

 

 

 

 

댓글목록

세미나자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