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학은 항상 준準종교적 활동이었다... 이 책의 논지는 물리학 발전의 배후에 있는 주요한 심리적 힘이 ‘자연 세계의 구조는 일련의 초월적인 수학적 관계들에 따라 결정된다’는 선험적 믿음이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른바 플라톤주의의 과학적인 변형이다... 물리학자는 항상 일종의 사제였다."
잘 지내셨나요? [과학읽기]에서 이번에 좀 재밌는 책을 찾았습니다.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 원제는 ‘피타고라스의 바지’입니다. 한국어 부제로 ‘신, 물리학, 젠더전쟁’이 붙어 있습니다. 서문에서 ‘물리학의 종교적 차원’에 대해 언급한 걸 보고는 빨리 읽고 싶어서 급히 세미나 공지 올립니다😀 종교와 물리학이 얼마나 같은 편인지, 종교와 물리학의 앞잡이들이 얼마나 세상을 단순화시켰는지 흥미로운 지점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3월에 만나요!
* 온라인 세미나로 진행됩니다. 시작 전에 접속 좌표를 보내드립니다. * <우리실험자들> 세미나는 첫 시간 무료 청강이 가능합니다. * 유튜브에 [과학책 읽는 채널] 만들었습니다. 놀러들 오십시오. 리딩아라차 https://www.youtube.com/@aracha33
시간 : 2025년 3월 11일(화) PM 8시(매주 화요일 오후 8시) 교재 : <물리학이 잃어버린 여성> 마거릿 워트하임 지음/최애리 옮김 반장 : 아라차 방식 : 매주 정해진 분량을 읽고 자유롭게 토론(발제는 선택) 회비 : 3만원(우리실험자들 정회원은 무료) 카카오뱅크 3333-11-4954645 신경아 신청 : 댓글로 이름과 연락처를 남겨주세요.
*일정(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3월11일 발제 : 아라차 1장 만물은 수 2장 수학자로서의 신 3월 18일 3장 천구들의 조화 4장 기계론의 승리 3월25일 5장 수학적 인간(남성)의 등장 6장 신, 여성, 새로운 물리학 4월1일 휴셈 4월8일 7장 구원으로서의 과학 8장 과학 성자 4월15일 9장 양자역학과 만물이론 10장 수학적 여성의 등장
* 과학읽기(구.리딩R&D) 세미나 목록 - 칼 세이건 <코스모스> - 앤 드류얀 <가능한 세계들> - 카를로 로벨리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ft. 브루스 로젠블룸 <양자불가사의>/ 김성구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 카를로 로벨리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t. 카를로 로벨리 <모든 순간의 물리학> - 미치오 카쿠 <마음의 미래> ft. 줄리오 토노니 <파이> - 스티븐 베리 <열역학>
- 브라이언 그린 <엔드오브타임>
- 카를로 로벨리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 짐 배것 <퀀텀 스토리 : 양자역학 100년 역사의 결정적 순간들>
- 쥬드 커리반 <코스믹 홀로그램>
- 킵S.손 <블랙홀과 시간 여행 : 아인슈타인의 찬란한 유산>
- E. 풀러 토리 <뇌의 진화, 신의 출현 : 초기 인류와 종교의 기원>
- 재레드 다이아몬드 <총, 균, 쇠> - 브뤼도 라투르 <판도라의 희망> - 제인 베넷 <생동하는 물질> - 안톤 차일링거 <아인슈타인의 베일> -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 장하석 <물은 H₂O인가?>
- 블라트코 베드럴 <고양이와 물리학>
- 찬다 프레스코드와인스타인 <나의 사랑스럽고 불평등한 코스모스>
- 카를로 로벨리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 카밀라 팡 <자신의 존재에 대해 사과하지 말 것> - 폴 데이비스 <기계 속의 악마> -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 팀 콜슨 <존재의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