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

제목[동아시아] 조총과 장부 - 2장 무역이 만들어낸 세계2023-10-12 12:36
작성자

                          [조총과 장부] 2장 무역이 만들어낸 세계 

                                                                2023. 10. 12 걷는이

 

대변화 초기의 특징은 서유럽 국가들이 해외 정복과 약탈에 나섰다는 것이다. ‘대변화는 이전 시대와는 성격이나 영향력 면에서 완전히 다른 역사적 전환이며, 경제 세계화의 시작을 가리킨다. ‘경제 세계화는 각국의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증가하는 것이고, 세계가 하나의 시장으로 연결되는 것을 추구한다. 그 시작 단계에는 무역을 통한 세계 시장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기와 폭력이 사용되었다.

 

15세기 이전 국제 무역이 이뤄지는 대륙 간 네트워크는 실크로드이다. 실크로드는 당시 가장 발달한 지역인 중국, 인도, 지중해를 연결한 상업로이다. 한대에 실크로드는 로마 제국의 수도에서 출발해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의 수도인 장안으로 연결되었다. 실크로드는 중국이 외부 세계와 통하는 수단이었고 문화 교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무역의 측면에서는 제한적 의미를 갖는다. 한무제 때 개통된 이래 후한이나 송나라 때 사용되지 않은 것을 보면 이 노선의 경제적 의미는 그리 크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과 인도, 유럽을 연결하는 바닷길도 일찍이 발달해서 해상 실크로드라고 불렸다. 당대에 이르러 해상무역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송대에는 중국의 항해술과 조선 기술이 크게 발전했다. 나침반의 사용과 수밀창의 발명이 한몫했다. 원대에 중국 선박이 동아프리카까지 항해했다는 기록이 있다. 해상 실크로드는 여러 항로로 연결되어 있고 주로 연안이나 해안을 따라 운행했으므로 해적의 공격에 노출되어 있었다. 15세기 이전의 해상 네트워크는 규모나 거리, 안전 면에서 매력적이지 않았다. 수에즈까지 이어진 그 네트워크의 연결고리가 느슨하여 세계 주요 거점을 긴밀하게 연결시키지는 못했다.

 

15~17세기에는 원양 항해가 성행한 대항해 시대이다. 15세기에 유럽의 조선 기술도 크게 발전했다. 나침반이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유럽인들은 지중해를 벗어나 대서양으로 나와 동아시아로 통하는 길을 찾게 되었다. 경제사, 기술사, 글로벌 히스토리의 관점에서는 15세기 초 정화의 대원정, 콜롬버스의 신대륙 발견, 바스쿠 다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 등을 대항해 시대의 시작점으로 본다. 유럽인의 항해 활동을 통해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를 오가는 해상통로가 개척되었고 진정한 세계시스템이 가능해졌다. 16세기에 유럽인들이 바닷길을 통해 중국에 온 뒤 중국 중심의 경제권과 유럽 중심의 경제권이 밀접하게 연결되었고 진정한 의미의 경제 세계화의 조류가 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 유럽인들은 세계 대부분 지역을 발견했고, 해외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식민 제국은 국제 교역을 통해 나라 간의 밀접한 관계를 구축한 신형 무역 제국이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와 무슬림이 주도하는 인도양 지역 간의 해상무역은 송원 시대부터 꾸준히 발전하고 있었지만 명나라 건국 이후 해금이 실시되면서 해상무역은 쇠퇴하고 육로무역이 다시 국제 무역을 주도했다. 16세기에 유럽인들이 오기 전부터 인도양과 동아시아 해역에서 무역이 번성하면서 지역 간 무역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네트워크는 정교하지 않았다. 무역 규칙이나 안전 보장 시스템, 중재 조직, 공통의 무역 언어가 없었다. 포르투갈인, 스페인인, 네덜란드인이 오면서 상황은 변했다. 그들은 동아시아와 인도양 지역을 세계 무역 네트워크에 편입시켰고, 포르투갈어가 해상무역의 통용어가 되었다. 동아시아 해상에서 무역 경쟁과 약탈이 전개되었다. 명나라 후기, 해상 무장 집단이 동아시아 해역을 장악했는데 이들은 약탈만이 아니라 무역을 했다. 해상과 해적은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했으며 근대 초기의 국제 무역에서 상인 겸 도둑은 정상적인 범주의 존재들이었다.

 

15~17세기 동아시아 국제 무역의 주요 참가국은 중국, 일본, 동남아와 서유럽이었다. 중국은 생사, , 저당, 도자기를 수출하고 향료를 수입했다. 서유럽과 일본은 중국 상품에 대한 그들의 수요에 비해 중국에 팔 상품이 없어서 누적되는 무역 적자를 피할 수 없었다. 16세기에 이 적자를 해결할 수단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일종의 화폐인 백은이다. 근대 초기, 국제 무역이 발전하자 은은 세계 통용 화폐가 되었는데 이를 국제 화폐의 백은화 현상이라고 한다. 이는 장거리 무역이 안정된 화폐 제도 아래에서 진행된다는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띤다. 중국의 은 생산량은 경제 규모에 비해 적은 양이었고, 유럽에서는 새로운 광산이 채굴되고 기술이 진보하면서 생산량이 늘었다. 일본에서도 은광이 많이 발견되어 16세기 말 일본의 은 생산량은 세계 총 생산량의 20~30퍼센트를 차지했다. 16세기 국제 무역에서 은이 통용 화폐가 되면서 대량 공급되자 경제 세계화는 활력을 띠었고, 일본과 서유럽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발생했던 적자를 메울 수 있었다. 초기 경제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국제 무역 네트워크가 긴밀해졌다. 동아시아에는 국가 경계가 없는 세계가 형성된 것이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